-
리눅스 기초(명령어 위주)@ 17. 1 ~ 18/리눅스 2018. 2. 5. 01:49
리눅스 폴더구조(권장크기는 다른내용임. 비고만 볼것)
리눅스 명령어
명령어 사이를 세미콜론으로 구분하면 연속으로 실행할때 사용한다는 의미이다.
fdisk -l /dev/sdb; fdisk -l /dev/sdc
(연속두번의 fdisk가 실행된다)
pwd : 현재 디렉터리 보여준다
ls -l : 현재 디렉터리의 파일리스트
ls -a : 현재 디렉터리의 목록(숨김파일 포함)
ls *.확장자
ls -l /etc/sysconfig/a* : 해당 디렉터리에 있는 목록 중에서 앞글자가 a인것들 목록
cd /etc : etc폴더로 이동
halt -p : 종료한다
df : 시스템에 마운트된 하드디스크를 확인할때 사용한다.
cd 명령어 관련
. 현재 디렉터리 .. 현재 디렉터의 상위 디렉터리
cp ../lib/abc .
: 현재 디렉터리의 상위 디렉터리(..)아래에 있는 /lib/디렉터리의 abc 파일을 (.)현재 디렉터리에 복사해라
mv : 파일이나 디렉터리 이동
mkdir : 디렉터리 생성
cat : 파일 내용을 보여줌
head, tail : 텍스트 형식으로 작성된 파일의 앞 10행 또는 마지막 10행만 화면에 출력함
head anaconda-ks.cfg : 해당 파일의 앞 10핼을 화면에 출력
head -3 anaconda-ks.cfg : 해당파일의 앞 3행을 화면에 출력
tail -5 anaconda-ks.cfig : 마지막 5행만 화면에 출력
권한이 필요한 명령어
rm : 파일이나 디렉터리 삭제
rmdir : 디렉터리 삭제(비어있어야한다)
cp : 파일이나 디렉터리 복사
파일실행
./파일명
다른사용자로 접속
su - 사용자 아이디 : 루트의 경우에는 비번없이 가능
exit : 위의 su를 사용한 경우 다시 root로 돌아감
네트워크 관련명령어
systemctl restart network : 네트워크 재시작
- restart말고도 start, stop, status 가 있다.
ifconfig ens32 : 네트워크 정보확인
nmtui
- 자동 ip 또는 고정 ip 사용 결정
- ip주소 서브넷마스크 게이트웨이 정보 입력, dns 정보입력, 네트워크 카드 드라이버 설정
- 네트워크 장치의 설정
ifup 장치이름 : 장치를 작동시켜주는 명령어
ifdown 장치이름 : 장치를 끄는 명령어
ifconfig 장치이름 : 해당 장치의 ip주소와 관련된 정보 출력
ping ip주소 또는 url : ping테스트
기타 팁
파이프 : |
- 2개의 프로그램을 연결해준다.
- ls -ls /etc | more : more를 사용해서 1페이지씩 나눠서 보겠다를 추가한것
필터 : grep, tail, wc, sort, awk, sed
- ps -ef | grep bash : ps -ef는 모든 프로세스 번호 출력 bash라는 글자가 들어간 프로세스만 출력
프로세스
- ps : 현재 프로세스 확인
- kill : 프로세스 강제종료
- pstree : 프로세스 트리형태 (부모와 자식관계)
- jobs : 현재 백그라운드로 가동중인 프로세스 확인
- 모든 명령어에 &를 붙이면 자동으로 백그라운드로 실행된다. 예) gedit &
vi편집기
esc 누른상태의 모드는 ex또는 라인명령 모드 : wq (write 저장, quit 종료), :q(quit 종료) :q!(변경된 내용을 무시하고 종료)
문자열 치환은 %s/기존문자열/새문자열
예를들어 %s/centos/linux
centos를 모두 linus로 대체한다
i 또는 a누르면 입력모드(Insert Append의 뜻
*팁
서로 전환은 esc로 하면 편하다
:set number 입력시 행 번호가 표시됨
기타
파일명
앞에 .붙어있으면 숨김파일이다.
usb나 dvd/장치 연결확인
ls /dev/sd*
리눅스 텍스트 화면
화면 이동 : 쉬프트 + page up 또는 page down
도움말
명령어 --help
man 명령어